맨위로가기

로드 무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드 무비는 자동차 여행을 소재로 하는 영화 장르로, 모호하고 혼합적인 특징을 지닌다. 다른 장르와 결합하여 다양한 하위 장르를 형성하며, 종종 미국 문화의 개인주의와 포퓰리즘, 혹은 국가 정체성을 탐구한다. 이 장르는 고전적인 서사 구조를 따르며, 등장인물의 변화와 성장에 초점을 맞춘다. 미국, 호주, 유럽, 라틴 아메리카, 러시아, 인도 등 다양한 국가에서 제작되었으며, 각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다. 주요 작품으로는 《분노의 포도》, 《이지 라이더》, 《델마와 루이스》, 《모터사이클 다이어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화 장르 - 다큐멘터리 영화
    다큐멘터리 영화는 현실 기록에 중점을 두고 사실 자료에 기반하여 제작되며, 저널리즘, 옹호, 개인적 표현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영화 장르이다.
  • 영화 장르 - 장편 영화
    장편 영화는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주요 영화를 의미하며, 상영 시간은 40분 이상, 60분 이상, 35mm 필름 1,600미터 이상 등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게 규정된다.
  • 로드 무비 - 도그마 (영화)
    케빈 스미스 감독의 1999년 코미디 영화 《도그마》는 타락한 천사들의 귀환 계획을 막는 사람들의 이야기로, 종교적 풍자와 유머, 캐스팅 변경, 논란, 종교 단체의 반발, 상업적 성공, 그리고 배급 제한을 거쳐 2024년 재개봉을 앞두고 있다.
  • 로드 무비 - 행오버 (영화)
    2009년 개봉한 토드 필립스 감독의 코미디 영화 《행오버》는 라스베이거스 총각 파티에서 사라진 더그를 찾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예측불허의 사건들을 웃음과 긴장감 넘치게 그리며 흥행에 성공했지만, 남성 중심적 시각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로드 무비
로드 무비 소개
설명주인공이 집을 떠나 여행을 하는 영화 장르
특징
주요 요소여행
일탈
자유
변화
성장
주제자아 찾기
인간 관계
사회 비판
역사
기원1930년대 미국
황금기1960년대 ~ 1970년대
현대다양한 변주와 발전
하위 장르
버디 로드 무비두 명 이상의 주인공이 함께 여행하는 영화
범죄 로드 무비범죄를 저지르며 도주하는 주인공의 영화
코미디 로드 무비유쾌하고 코믹한 여행을 그린 영화
대표작
미국이지 라이더 (1969)
델마와 루이스 (1991)
아이다호 (1991)
파리, 텍사스 (1984)
내츄럴 본 킬러 (1994)
리틀 미스 선샤인 (2006)
유럽천국보다 낯선 (1984)
베를린 천사의 시 (1987)
언터처블 (2011)
아시아굿바이, 드래곤 인 (2003)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2001)
하나와 앨리스 (2004)
스윙 걸즈 (2004)
기쿠지로의 여름 (1999)

2. 장르와 제작 요소

로드 무비는 파악하기 어렵고 모호한 영화 장르로 불려왔다.[7] 티모시 코리건은 로드 무비가 "고의적으로 불순한" 장르이며 "과잉 결정적이고 내장된 장르 혼합 경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12] 데빈 오르거론은 로드 무비가 문자 그대로 자동차 여행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화의 [역사], 이미지의 문화"에 관한 것이며, 고전 할리우드 영화 장르들의 혼합으로 만들어졌다고 말한다.[12]

로드 무비는 다른 장르와 혼합되어 다양한 하위 장르를 만들어낸다. 여기에는 로드 호러 (예: 1987년의 ''네어 다크''), 로드 코미디 (예: 1996년의 ''플러팅 위드 디재스터''), 로드 레이싱 영화 (예: 1975년의 ''데스 레이스 2000'') 및 록 콘서트 투어 영화 (예: 2000년의 ''올모스트 페이머스'') 등이 있다.[8] 필름 느와르 로드 무비에는 ''디투어'' (1945), ''데스퍼레이트'', ''악마는 손가락을 튕긴다'' (1947) 및 ''히치하이커'' (1953)가 포함되며, 이 영화들은 모두 "히치하이킹을 둘러싼 공포와 서스펜스를 구축"하고, 무법자 테마의 필름 느와르 ''그들은 밤에 산다'' (1948) 및 ''건 크레이지''가 있다.[8] 필름 느와르의 영향을 받은 로드 영화는 네오 느와르 시대에도 이어져, ''히치하이커'' (1986), ''딜루전'' (1991), ''레드 락 웨스트'' (1992), 그리고 ''조이 라이드'' (2001)가 나왔다.[8]

로드 무비는 중요하고 인기 있는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영화 역사의 간과된 흐름"이다.[5] 주요 장르 연구에서는 로드 무비를 다루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로드 무비의 자격 요건에 대한 분석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14] 등장인물은 고향을 떠나 장거리 자동차 여행을 떠난다. 그리고 일상과는 다른 세계로 들어간다.[79] 눈에 들어오는 풍경이나, 살아가는 시대를 배경으로, 그들이 안고 있는 "소외감"이 테마로 그려진다. 등장인물은 종종 도망 중인 범죄자이며[80] [81], 두려움, 짜증, 자포자기 상태에 있다.[82]

로드 무비에는 "추구형"과 "도망형"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85] "추구형"에서는, 등장인물이 무언가를 "발견"함으로써 스토리가 전개된다(예: 단절 (1972)).[85] "도망형"에서는 등장인물은 경찰 등으로부터 도망치는 중이며, 섹스나 폭력 장면이 많아진다(예: 내츄럴 본 킬러 (1995)).[78] [85]

등장인물 외에도, 자동차와 그 트래킹 숏이 중요한 요소이지만, 서부극과 마찬가지로, 아마도 카메라에 비치는 넓은 대지나 하늘이 중요하다.[86] "개척자 정신"이나 "발견"을 그리고 있다는 점도 서부극과 유사하다.[86] 로드 무비에서는 카 오디오에서 흘러나와, 등장인물이 듣고 있는 곡을 그대로 사운드트랙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87] 1960~70년대, 그것은 록이었다("이지 라이더" (1970)에서는 지미 헨드릭스, 버즈, 스테픈 울프의 곡이 흘렀다).[88]

1930년대 초기의 작품에서는 남녀 커플이 많았지만,[81] [83] 2차 대전 이후에는 남성 2인조가 주류가 되었으며, 여성이 등장하더라도 짧은 시간 동안의 동행이 많았다. 드물게 "델마와 루이스"(1991)처럼 여성 2명이 주역인 작품도 있다.[86]

3. 역사

로드 무비는 파악하기 어렵고 모호한 영화 장르로 불려왔다.[7] 티모시 코리건은 로드 무비가 "고의적으로 불순한" 장르이며 "과잉 결정적이고 내장된 장르 혼합 경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12] 데빈 오르거론은 로드 무비가 문자 그대로 자동차 여행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화의 역사, 이미지의 문화"에 관한 것이며, 고전 할리우드 영화 장르들의 혼합으로 만들어졌다고 말한다.[12]

로드 무비는 다른 장르와 혼합되어 다양한 하위 장르를 만들어낸다. 여기에는 로드 호러 (예: 1987년의 ''네어 다크''), 로드 코미디 (예: 1996년의 ''플러팅 위드 디재스터''), 로드 레이싱 영화 (예: 1975년의 ''데스 레이스 2000'') 및 록 콘서트 투어 영화 (예: 2000년의 ''올모스트 페이머스'') 등이 있다.[8] 필름 느와르 로드 무비에는 ''디투어'' (1945), ''데스퍼레이트'', ''악마는 손가락을 튕긴다'' (1947) 및 ''히치하이커'' (1953)가 포함되며, 이 영화들은 모두 "히치하이킹을 둘러싼 공포와 서스펜스를 구축"하고, 무법자 테마의 필름 느와르 ''그들은 밤에 산다'' (1948) 및 ''건 크레이지''가 있다.[8] 필름 느와르의 영향을 받은 로드 영화는 네오 느와르 시대에도 이어져, ''히치하이커'' (1986), ''딜루전'' (1991), ''레드 락 웨스트'' (1992), 그리고 ''조이 라이드'' (2001)가 나왔다.[8]

로드 무비는 중요하고 인기 있는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영화 역사의 간과된 흐름"이다.[5] 주요 장르 연구에서는 로드 무비를 다루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로드 무비의 자격 요건에 대한 분석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14]

존 포드의 1939년 서부극 ''역마차''는 초기 로드 무비로 불려왔다.


이 장르는 ''오디세이아''[5]와 ''아이네이스''와 같은 서사적인 여정에 대한 구전 및 기록된 이야기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로드 무비는 시나리오 작가들이 사용하는 표준적인 줄거리이다. 이는 성장 소설의 일종으로, 이야기 속에서 영웅이 이야기의 전개 과정에서 변화하고, 성장하거나 발전하는 이야기이다. 목표보다는 여정에 더 초점을 맞춘다. 데이비드 라더만은 로드 무비에 영향을 미친 다른 문학 작품으로, 사회 풍자를 위해 여정에 대한 묘사를 사용하는 ''돈 키호테''(1615), 미시시피 강을 따라 내려가는 여정에 대한 이야기로 사회적 논평으로 가득한 ''허클베리 핀의 모험''(1884), 벨기에 콩고에서 식민지 무역상을 찾아 강을 따라가는 여정을 그린 ''어둠의 심장''(1902), "여행과 이동성"을 묘사하는 동시에 산업화의 고통에 대한 사회적 논평을 제공하는 ''사랑하는 여인들''(1920)을 꼽았다.[5]

존 스타인벡의 소설 ''분노의 포도''(1939)는 대공황 시대에 길 위에서 생존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가족을 묘사하는데, 이 책은 "미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프롤레타리아 로드 사가"라고 불린다.[5] 1년 후에 제작된 영화 버전은 배고프고 지친 가족이 66번 국도를 여행하는 모습을 "몽타주 시퀀스, 앞 유리에 비친 도로의 이미지, 거울", 운전자의 시점에서 촬영한 샷을 사용하여 움직임과 장소감을 연출한다.[61] 헨리 밀러의 ''에어컨이 켜진 악몽''(1947)은 소설이 아니지만, 로드 무비에서 만연하게 된 좌절감, 불안, 목표 없음의 분위기를 포착했다.[5]

존 포드의 ''역마차''(1939)와 같은 서부 영화는 "초기 로드 무비"라고 불려왔다.[62] 방랑하는 등장인물에 대한 이전 이야기와 로드 무비의 차이점은 기술에 있다. 로드 무비의 영웅은 자동차, 오토바이, 버스 또는 기차를 타고 이동하며, 로드 무비는 현대 사회의 장점과 사회적 문제점을 나타낸다.[15] 길 위에서의 줄거리는 미국 영화 초기에 사용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자동차 생산의 붐과 청소년 문화의 성장을 반영하며 번성했다. 초기 로드 무비는 일부 진보주의자들에 의해 "무심한 여성 혐오", "타자에 대한 공포"로, 권력, 특권, 젠더와 같은 문제를 조사하지 않고[62] 주로 백인만 보여준다는 비판을 받았다.[64]

''분노의 포도''(1940)는 길 위의 한 가족에 관한 이야기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시대의 로드 무비는 1957년 잭 케루악의 ''길 위에서''가 출판되면서 바뀌었는데, 이는 로드 무비의 미래를 그려내고 탐험, 탐구, 여행의 "주요 내러티브"를 제공했다. 이 책에는 차를 운전하는 모습에 대한 많은 묘사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글쓰기 경력의 자료를 찾기 위해 길을 떠나는 중산층 대학생인 샐 파라다이스를 묘사했는데, 이는 시작과 끝이 명확한 제한된 여정으로, 다른 운전자를 우연히 만나 여행하는 곳이나 도착하는 곳에 영향을 미치는 이전 영화의 열린 방랑과는 다르다.[65] 지적인 샐 캐릭터와 대조하기 위해 케루악은 도로가 해방을 제공한다는 생각을 나타내는 와일드하고 빠르게 운전하는 캐릭터인 청소년 범죄자 딘을 등장시킨다.[66]

케루악은 주류 미국 문화에 통합될 수 없는 소외된 영화 캐릭터를 묘사함으로써, 이성애 커플(예: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이동하는 그룹(예: ''분노의 포도''), 특히 두 남성 친구(예: ''길 위에서'')뿐 아니라 더 다양한 캐릭터를 묘사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67] ''길 위에서''와 같은 시대에 출판된 또 다른 소설인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소설 ''롤리타''(1955)는 "미국을 횡단하며 파괴적인 관능적 자극을 주는 두 개의 기념비적인 로드 소설"이라고 불린다.[8]

1950년대에는 밥 호프빙 크로스비의 ''발리로 가는 길''(1952), 빈센트 미넬리의 ''오래오래 가는 트레일러''(1954), 딘 마틴제리 루이스 영화 ''할리우드 아니면 파산''(1956)과 같은 "건전한" 로드 코미디가 있었다.[8] 1950년대 로드 영화는 많지 않았지만, "전후 청소년 문화"는 ''와일드 원''(1953)과 ''이유 없는 반항''(1955)에서 묘사되었다.[8]

티모시 코리건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로드 영화 장르가 더욱 체계화되었으며, "기억 상실, 환각, 극적인 위기"를 겪는 캐릭터의 사용과 같은 특징이 굳어졌다고 말한다.[5] 데이비드 라더만은 로드 무비가 "반항, 사회 비판, 해방적인 스릴"에 초점을 맞추면서 주류 정치 및 미학적 규범에 대한 "환멸"을 보여주는 모더니스트적 미학적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5] 별개의 장르로서의 "로드 픽처"에 대한 인식은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와 ''이지 라이더''가 등장한 1960년대에 와서야 이루어졌다.[68] 로드 무비는 뉴 할리우드 시대인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에 중요한 장르였으며, 테렌스 맬릭의 ''황무지''와 리처드 사라피안의 ''포인트 블랭크''(1971)와 같은 영화는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의 영향을 보여주었다.[69]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의 제작에는 프랑스 영화의 영향이 있었을 수 있다. 데이비드 뉴먼과 로버트 벤턴은 장뤼크 고다르의 ''숨 막을 때까지''(1960)와 프랑수아 트뤼포의 ''피아니스트를 쏴라''(1960)의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70]

1960년대 후반과 그 이후 수십 년 동안 로드 무비의 성적 긴장에 폭력을 더하는 것은 더 많은 흥분과 "프리송"을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 볼 수 있다.[6] 193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남녀가 로드 트립을 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관객들에게 흥미로웠는데, 모텔 숙박과 친밀함은 등장인물 간의 성적 매력의 소비를 암시했지만, 지연되었기 때문이다(영화 검열 코드 때문에 섹스를 묘사할 수 없었다).[6]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1967)와 ''내추럴 본 킬러''(1994)에서 이성애 커플은 살인에 연루되어 결합된다. 또한, 감옥이 그들의 머리 위에 매달려 있어서 영화가 끝나도 가정 생활로 돌아갈 수 없다.[71]

"불법-반역자" 로드 무비에는 세 개의 역사적 시대가 있었다. 즉,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필름 느와르 시대(예: ''데투어''), 베트남 전쟁으로 충격을 받은 1960년대 후반 시대(''이지 라이더''와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그리고 "걸프전의 남성 영웅주의가 더 면밀한 조사로 이어지면서" 레이건 이후 시대인 1990년대(''마이 오운 프라이빗 아이다호'', ''델마와 루이스'', ''내추럴 본 킬러'').[72] 1970년대에는 ''에디 메이컨의 질주''와 같이 추격전을 묘사하는 저예산 불법 영화가 있었다.[30] 1980년대에는 ''스모키와 밴디트''와 1981년과 1984년의 ''캐논볼'' 추격 영화와 같은 남부 로드 무비가 있었다.[30] 불법 커플 영화는 1990년대에 ''와일드 앳 하트'', ''캘리포니아'', ''트루 로맨스''와 같은 영화에서 포스트모던적 시각으로 재창조되었다.[73]

초기 로드 무비는 새로운 영토의 발견이나 국가의 경계를 넓히는 것을 묘사했는데, 이는 미국의 초기 서부 영화의 핵심 메시지였지만, 로드 무비는 나중에 에드가 G. 울머의 ''데투어''(1945)와 같이 국가 정체성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었다. 또는 데니스 호퍼의 ''이지 라이더''는 1960년대 후반의 사회 문화적 트렌드로 미국 사회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보여주었다.[1] 뉴 할리우드 시대 영화는 "빠른 필름 스톡"과 경량 카메라와 같은 로드 무비 장르의 새로운 영화 기술을 사용했으며, "타원형 내러티브 구조와 자기 반성적 장치, 소외된 캐릭터의 파악하기 어려운 발전, 대담한 트래블링 샷과 몽타주 시퀀스"와 같은 유럽 영화의 영화 제작 방식을 통합했다.[5]

로드 무비는 남성 역할이 불안정해진 전통적인 가족 구조의 붕괴와 같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핵심 문화 트렌드를 추적하므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장르라고 불려왔다. 이동 중인 캐릭터에 영향을 미치는 위협적인 사건에 초점을 맞추고, 캐릭터와 사용되는 이동 수단(예: 자동차 또는 오토바이) 간의 연관성이 있으며, 자동차는 현대 문화에서 자아를 상징하며, 일반적으로 남성에 초점을 맞추며 여성은 일반적으로 제외되어 "남성성을 기술과 연결하는 남성적 도피적 판타지"를 만든다.[14]

2000년대에는 빈센트 갤로의 ''브라운 버니''(2003), 알렉산더 페인의 ''사이드웨이''(2004), 짐 자무쉬의 ''브로큰 플라워''(2005)와 켈리 라이카트의 ''올드 조이''(2006)를 포함한 새로운 로드 무비가 제작되었으며, 학자들은 이 장르를 조사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75] 영국 영화 연구소는 "[t]로드 무비 장르에는 아직 많은 가스가 남아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2000년 이후의 로드 영화 10편을 강조한다.[76] BFI의 톱 10에는 "대부분 비전문 배우"를 사용한 안드레아 아놀드의 ''아메리칸 허니''(2016), 멕시코 십대들의 로드 영화인 알폰소 쿠아론의 ''그리고 당신의 어머니도''(2001), "악명 높은 펠라티오 장면"으로 주목받은 ''브라운 버니''(2003), 체 게바라의 서사적 오토바이 여행에 관한 월터 살레스의 ''모터사이클 다이어리''(2004), "최초의 멈블코어 로드 무비"인 마크 듀플라스와 제이 듀플라스의 ''퍼피 체어''(2005), ''브로큰 플라워''(2005), 가족의 폭스바겐 캠퍼 밴 여행에 관한 조나단 데이턴과 발레리 패리스의 ''리틀 미스 선샤인''(2006), ''올드 조이''(2006), 로드 트립을 떠나는 아버지와 아들을 묘사한 알렉산더 페인의 ''네브래스카''(2013), 스트레스가 많은 전화를 받는 건설 임원의 이야기를 다룬 스티븐 나이트의 ''로크''(2013), 이상한 승객을 태우고 도시를 돌아다니는 택시 운전사에 관한 자파르 파나히의 ''택시 테헤란''(2015)이 포함되어 있다.[76]

티모시 코리건은 포스트모던 로드 무비를 "미장센 아빔" 반성의 "경계 없는 쓰레기통"이라고 불렀으며, "자연화된 역사"를 생각할 수 없는 현대 관객을 반영한다.[5] 앳킨슨은 현대 로드 무비를 TV, 특히 오픈 엔딩 연속 프로그램을 보면서 자란 관객을 위해 디자인된 "인간의 욕망의 표상과 자아를 위한 마지막 몸부림"이라고 부른다.[5]

4. 지역별 로드 무비

유럽, 라틴 아메리카, 러시아, 인도, 아프리카 등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로드 무비가 제작되었다.

유럽 영화 제작자들은 미국의 로드 무비 관습을 차용하면서도, 운전 속도를 줄이고 자기 성찰을 늘리는 방식으로 자신들만의 스타일을 구축했다. 빔 벤더스는 1970년대 로드 무비 3부작(''도시의 앨리스'', ''잘못된 움직임'', ''길 위의 왕들'')을 통해 유럽적 관점에서 미국의 로드 무비 주제를 탐구했다. 프랑스는 ''Les Valseuses''(1973) 등을 통해 로드 무비 전통을 이어갔으며, 개인의 자유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평등과 박애의 가치를 균형 있게 다루었다. 스페인 로드 무비는 미국 영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에어백''과 같이 로드 무비와 코미디를 결합한 작품들이 등장했다. 잉마르 베르히만의 ''산딸기''(1957)와 같은 영화는 미국 로드 영화에 비해 더 "실존적 감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는다.

라틴 아메리카 로드 무비는 유럽 영화와 비슷한 느낌을 주며, 여러 등장인물에 초점을 맞추고 도시와 농촌, 북부와 남부 간의 차이를 탐구한다. 루이스 부뉴엘의 ''천국으로의 여행''(1951)은 가난한 시골 사람이 대도시로 여행을 떠나는 이야기를 다룬다.

러시아와 구소련 국가에서는 '예술 영화'를 중심으로 로드 무비 장르가 큰 인기를 얻었다. 이들 영화는 범죄, 부패, 권력, 역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블랙 코미디 스타일을 포함하여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했다. 대표적인 영화로는 ''나의 기쁨''(2010), ''Bimmer''(2003), ''메이저''(2013) 등이 있다.

인도에서는 람 고팔 바르마 감독이 ''크샤나 크샤남''과 같은 로드 무비를 제작하며 새로운 시대의 필름 느와르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1세기 볼리우드 영화는 ''로드, 무비''와 같은 다양한 로드 무비들이 등장했다. ''라이어스 다이스''는 도시 이주에 따른 인간적 비용과 이주 노동자 착취 문제를 다루며 국제 영화제에서 주목받았다.

아프리카에서도 니제르의 ''코코리코! 므시외 풀레''(1977), 모잠비크의 ''소금과 설탕의 기차''(2016) 등 여러 로드 무비가 제작되었다.[59][60]

4. 1. 미국

로드 무비는 주로 미국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미국 특유의 꿈, 긴장, 불안"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이다.[14] 미국 로드 무비는 미국 문화의 두 가지 기본 신화인 개인주의와 포퓰리즘 사이의 긴장을 탐구한다. 이로 인해 일부 로드 영화는 균질적인 문화를 가진 "유토피아적 판타지"로서의 열린 길을 묘사하는 반면, 다른 영화는 극심한 문화적 차이의 "디스토피아적 악몽"으로 묘사한다.[15] 미국 로드 무비는 고속도로의 광활하고 넓은 공간을 삶에서 위로, 밖으로 이동할 수 있는 "규모적이고 유토피아적인" 기회를 상징하는 것으로 묘사한다.[16]

''어느 날 밤에 생긴 일''(1934)은 자동차로 고속도로를 여행하면서 평범한 미국인에 대해 배우는 부유한 여성에 관한 영화이다.


미국 로드 무비에서 길은 등장인물들이 기존 사회와 단절되어 변혁을 경험할 수 있는 "대안적 공간"이다.[17] 예를 들어, ''어느 날 밤에 생긴 일''(1934)에서 길을 떠나는 부유한 여성은 이전 삶에서 절대 만날 수 없었던 평범하고 마음씨 좋은 미국인들로부터 환대를 경험하면서, 자신의 엘리트 배경과 부도덕한 남편과의 결혼으로부터 해방된다. 이 영화는 중서부 미국을 "진정한 공동체"의 유토피아로 묘사한다.[18] 로드 무비의 장면들은 신화적인 과거에 대한 갈망을 불러일으키는 경향이 있다.[19]

미국 로드 무비는 백인 장르인 경향이 있었으며, 스파이크 리의 ''겟 온 더 버스''(1996)는 예외적인 작품이다. 이 영화의 주요 등장인물들은 밀리언 맨 마치에 참가하기 위해 버스를 타고 여행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남성들이다(이 영화는 미국의 시민권 운동에서 버스의 역사적 역할을 묘사한다).[20] 아시아계 미국인 영화 제작자들은 로드 무비를 사용하여 미국 내 아시아계 미국인의 역할과 대우를 탐구해왔다. 예를 들어, 웨인 왕의 ''찬 이즈 미싱''(1982)은 할리우드 탐정 캐릭터 찰리 찬에 대해 알아보려는 택시 운전사에 관한 영화이며, 에이브러햄 림의 ''로드 앤 브리지스''(2001)는 중서부 고속도로에서 쓰레기를 청소하는 형을 선고받은 아시아계 미국인 죄수에 관한 영화이다.[21]

4. 2. 호주

호주의 광활한 빈 공간과 집중된 인구는 로드 무비를 이 나라의 주요 장르로 만들었으며, 조지 밀러매드 맥스 영화가 대표적이다.[22] 이 영화는 디스토피아와 필름 느와르를 주제로 하고 자동차의 파괴력, 호주의 가혹하고 인구 밀도가 낮은 육지를 다루는 호주 전통 영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22] 호주 로드 무비는 등장인물이 여행하는 길이 종종 "막다른 골목"이며, 여행이 의도된 장소에 도달하는 것보다 "내면을 탐구"하는 것에 더 가깝기 때문에, 디스토피아적 또는 고딕적인 분위기를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23] 호주에서 로드 무비는 국가의 역사, 현재 상황, 그리고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가리키는 "복잡한 은유"라고 불린다.[23]

매드 맥스, 매드 맥스 2, 매드 맥스 3를 포함한 매드 맥스 영화는 "매니악한 운전 기술에 생존이 달려 있는 포스트 휴먼 황무지로서 아웃백을 디스토피아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인해 전형적인 작품이 되었다."[8]

200px


다른 호주 로드 무비로는 주민들이 차량을 구하기 위해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작은 마을에 관한 피터 위어의 ''파리가 먹어버린 차들''(1974), 정치적 은폐 살인을 목격한 오토바이 갱에 관한 샌디 하버트의 오토바이 영화 ''스톤''(1974), 호주 아웃백에서 연쇄 살인범을 추적하는 트럭 운전사에 관한 리처드 프랭클린의 (1981) 스릴러 ''로드 게임'', 드라이브인 극장이 구금 센터로 바뀌는 디스토피아적 미래에 관한 브라이언 트렌차드-스미스의 ''데드-엔드 드라이브-인''(1986), 거리 경주자에 관한 제프리 라이트의 ''메탈 스킨''(1994), 필름 느와르 스타일의 로드 무비인 빌 베넷의 ''키스 오어 킬''(1997) 등이 있다.[24]

''프리실라, 사막의 여왕''(1994)은 "호주 내 다양성을 다룬 분수령이 되는 게이 로드 무비"라고 불린다.[8] ''워크어바웃''(1971), ''백로즈''(1977), 그리고 ''래빗-프루프 펜스''(2002)는 호주 아웃백을 여행하는 모습을 묘사하여 백인과 원주민 간의 관계 문제를 다룬다.[8]

2005년, 피오나 프로빈은 아스팔트 도로를 달리는 차량을 보여주지 않는 "노 로드" 영화라고 부르는, 호주 원주민에 관한 로드 무비 하위 장르를 설명했다. 대신, 이 영화들은 종종 원주민 추적자들이 험난한 흔적에서 감지하기 어려운 단서를 파악하기 위해 추적 능력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길 위를 여행하는 모습을 묘사한다.[23] 호주 로드 무비에서 인종 소수자 묘사가 증가함에 따라, "노 로드" 하위 장르는 도로가 아닌 다른 경로를 이용한 여행을 묘사하는 아시아계 호주 영화와도 연관되어 있다(예: 보트 피플 난민의 이야기를 다룬, 물 위를 여행하는 모습을 묘사한 2010년 영화 ''마더 피쉬'').[23] 많은 호주 로드 무비(특히 매드 맥스 시리즈)에서 자동차 충돌의 아이콘은 백인-원주민 폭력의 상징으로 불려왔으며, 이 폭력의 역사를 지우고 잊게 만드는 내러티브의 파열 지점이다.[23]

4. 3. 캐나다

캐나다는 광대한 영토를 가지고 있어 로드 무비가 흔하게 제작된다. 이 장르는 "광활하고, 거의 위협적인, 끝없이 펼쳐진 공간과 관련된 소외감과 고립감"을 탐구하고, 캐나다의 정체성이 "미국이라는 덜 겸손하고 자의식 강한 남쪽 이웃"과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본다.[25] 캐나다 로드 영화에는 도널드 셰비브의 《Goin' Down the Road》(1970), 브루스 맥도널드 감독의 《로드킬》(1989), 《하이웨이 61》(1991), 펑크 록 밴드의 로드 투어에 대한 모큐멘터리인 《Hard Core Logo》(1996), 말콤 잉그램의 《Tail Lights Fade》(1999), 개리 번스의 《The Suburbanators》(1995) 등이 있다.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의 《크래쉬》(1996)는 "자동차 사고를 통해 변태적인 성적 흥분을 느끼는" 운전자들을 묘사했는데, 이 주제로 인해 테드 터너가 미국 극장에서 영화 상영을 반대하는 로비를 벌이기도 했다.[8]

아시아계 캐나다인 영화 제작자들은 앤 마리 플레밍의 《The Magical Life of Long Tak Sam》과 같이 아시아계 캐나다인의 경험을 다룬 로드 영화를 제작했는데, 이 영화는 그녀가 "유랑 마술사이자 곡예사였던 중국인 할아버지"를 찾는 내용이다.[21] 다른 아시아계 캐나다 로드 영화로는 1940년대 캐나다 정부가 일본계 캐나다인을 억류했던 시기에 친척들이 겪었던 경험을 다룬 리즈 야스이의 《Family Gathering》(1988), 레아 타지리의 《History and Memory》(1991), 자넷 타나카의 《Memories from the Department of Amnesia》(1991) 등이 있다.[21]

4. 4. 유럽

유럽의 영화 제작자들은 미국의 로드 무비 관습을 차용하면서도, 운전자의 속도를 줄이고 자기 성찰을 늘리는 방식으로 접근했다. 이러한 성찰은 종종 국가 정체성과 같은 주제를 다루며, 등장인물들의 탐색으로 로드 트립을 묘사한다.[26]

빔 벤더스는 1970년대 중반 로드 무비 3부작을 통해 유럽적 관점에서 미국의 로드 무비 주제를 탐구했다. 3부작은 ''도시의 앨리스''(1974), ''잘못된 움직임''(1975), ''길 위의 왕들''(1976)이다.[27][28] 이 세 영화는 모두 로비 뮐러가 촬영했으며, 대부분 서독에서 촬영되었다. ''길 위의 왕들''은 로드 무비로서는 드물게 정지 화면과 고요함(록 사운드트랙 제외)을 포함한다.[29] 벤더스의 다른 로드 무비로는 ''파리, 텍사스''와 ''세상의 끝까지''가 있다.[30] 벤더스의 로드 무비는 "유목적 여행을 사색적인 게르만 렌즈를 통해 여과"하고 "내면의 상처에 적응하는 우울한 방랑자들"을 묘사한다.[8]

프랑스는 베르트랑 블리에의 ''Les Valseuses''(1973)과 아네스 바르다의 ''Sans toit ni loi''(노숙자에 관한 영화)에서부터 1990년대 영화인 ''메르시 라 비''(1991)와 버지니 데스팡트와 코랄리 트린 티의 ''Baise-moi''(두 여성이 강간에 복수하는 것에 대한 논란이 많은 영화), 2000년대 영화인 로랑 캉테의 ''L'emploi du temps''(2001)과 세드릭 칸의 ''Feux rouges''(2004)에 이르기까지 로드 무비 전통을 가지고 있다.[31] 프랑스 로드 무비는 미국의 로드 무비와 마찬가지로 개인의 자유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프랑스 영화는 이 가치와 평등, 박애를 프랑스 공화주의 모델인 자유-평등-박애에 따라 균형을 이룬다.[32]

닐 아처는 프랑스 및 기타 프랑스어권(예: 벨기에, 스위스) 로드 영화가 "이주와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히 마그레브 이민자와 젊은이들(예: 야미나 벵기기의 ''Inch'Allah Dimanche''(2001), 이스마엘 페루키의 ''La Fille de Keltoum''(2001)과 토니 가틀리프의 ''Exils''(2004))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한다.[33] 더 광범위하게 유럽 영화는 국경 횡단의 이미지를 사용하고 "주변부 정체성과 경제적 이주"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루카스 무디슨의 ''릴리아 4-ever''(2002), 마이클 윈터보텀의 ''인 디스 월드''(2002) 및 울리히 자이들의 ''Import/Export''(2007)에서 볼 수 있다.[33] 유럽 로드 무비는 또한 탈식민주의, "이탈, 기억, 정체성"을 탐구한다.[33]

스페인 로드 무비는 미국 영화의 강한 영향을 받아, 피터 패럴리의 ''덤 앤 더머''(1994)와 같이 미국 영화에서 대중화된 로드 무비-코미디 장르 하이브리드를 통합한다. ''Los años bárbaros'', ''Carretera y manta'', ''Trileros'', ''Al final del Camino'', 그리고 "역대 가장 성공적인 스페인 로드 무비"라고 불리는 ''에어백''을 포함한 스페인 영화가 있다.[34] ''에어백''은 ''슬램''(2003), ''El mundo alrededor''(2006) 및 ''Los managers''와 함께, ''로드 트립''과 같은 미국 영화처럼, "로드 무비 장르를... 역겨운 섹스 코미디를 위한 내러티브 프레임워크"로 사용한다.[35] ''에어백''의 감독 후안마 바호 울로아는 로드 트립 내러티브를 통한 변형을 여전히 사용하면서, 북미에서 확립된 로드 무비 장르를 조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힌다(이 경우, 주인공 남성은 길에서 만난 매춘부를 선호하여 상류층 여자친구를 거부한다).[36] ''에어백''은 또한 "사막, 카지노, 로드 클럽"을 묘사하고 토니 스콧올리버 스톤의 유사한 작품을 연상시키는 로드 무비 액션 시퀀스(추격전, 자동차 폭발, 충돌)를 사용하여, 로드 무비의 전형적인 설정과 도상에 해당하는 스페인식 표현을 사용한다.[36]

스페인 로드 무비의 두 번째 하위 유형은 마틴 스코세지의 ''앨리스는 더 이상 여기 살지 않는다''(1974), 조나단 데미의 ''미친 엄마''(1975), 리들리 스콧의 ''델마와 루이스''(1991), 허버트 로스의 ''보이즈 온 더 사이드''(1995)와 같은 미국의 여성 로드 무비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아서, 스크린에서 "덜 전통적"이고 더 "눈에 띄고, 혁신적이며, 내성적이고, 현실적인" 유형의 여성을 보여준다.[37] 여성에 관한 스페인 로드 무비로는 ''Hola, ¿estás sola?'', ''Lisboa'', ''Fugitivas'', ''Retorno a Hansala'', ''Sin Dejar Huella''가 있으며, 여성들이 "권위주의적 가부장적 질서" 하에서 겪는 "부당함과 학대"와 같은 여성에 대한 사회 문제를 다룬다.[38] ''Fugitivas''는 미국 로드 무비 장르의 관습인 "가족과 공동체의 붕괴"와 "변화의 여정"을 묘사하는데, 두 도망자가 길 위에서 겪는 모험을 통해 서로를 신뢰하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39] 이 영화의 이미지는 미국 로드 무비의 관습(주유소, 광고판)에 대한 오마주와 "알아볼 수 있는 스페인 유형"인 "앙심을 품은 술꾼"을 혼합한 것이다.[40]

다른 유럽 로드 영화로는 잉마르 베르히만의 ''산딸기''(1957)가 있는데, 이 영화는 스웨덴의 도로를 여행하며 히치하이커를 태우는 늙은 교수에 관한 내용이며, 장 뤽 고다르의 ''미치광이 피에로''(1965)는 법을 어기는 연인들이 길에서 도망치는 내용이다. 이 영화들과 로베르토 로셀리니의 ''이탈리아 여행''(1953)과 고다르의 ''주말''(1967)은 미국 로드 영화에 비해 더 "실존적 감성"을 가지고 있거나 "유럽적 성향의 철학적 탈선"을 위한 일시 정지를 가지고 있다.[8] ''세 남자와 다리''(1997)는 영화 제작자이자 프로듀서인 알도, 지오반니 & 자코모의 이전 코미디 작품의 여러 스케치가 영화의 나머지 부분인 로드 트립 및 로맨틱 코미디 분위기와 겹쳐 나타난다.[41] 다른 유럽 로드 영화로는 M4 고속도로를 배경으로 벤더스의 영향을 받은 영화인 크리스 페티의 ''라디오 온''(1979), 가상의 러시아 록 밴드가 미국으로 여행하는 내용인 아키 카우리스마키의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미국에 가다''(1989), 그리스에서 독일로의 로드 트립에 관한 테오 앙겔로풀로스의 ''안개 속의 풍경''이 있다.

4. 5. 라틴 아메리카

라틴 아메리카에서 제작된 로드 무비는 유럽의 로드 영화와 비슷한 느낌을 준다.[8] 라틴 아메리카 로드 무비는 보통 한두 명의 인물보다는 여러 등장인물에 초점을 맞추며, 도시와 농촌 지역 간의 차이, 북부와 남부 간의 차이를 탐구한다.[8] 루이스 부뉴엘의 《천국으로의 여행(Subida al Cielo)》(1951)은 어머니를 돕기 위해 대도시로 여행을 떠나는 가난한 시골 사람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 영화의 로드 트립은 "카니발적 순례" 또는 "여행하는 서커스"로 묘사되는데, 이는 《바이 바이 브라질》(1979, 브라질), 《과탄나메라》(1995, 쿠바), 《중앙역(Central do Brasil)》(1998, 브라질)에서도 사용된 방식이다.[8] 일부 라틴 아메리카 로드 무비는 《카베사 데 바카》(1991, 멕시코)와 같이 정복 시대를 배경으로 하기도 한다. 정의로부터 도망치는 무법자들을 다룬 영화로는 《프로푼도 카르메시(Profundo Carmesí)》(1996, 멕시코)와 《엘 카미노(El Camino)》(2000, 아르헨티나) 등이 있다.[8] 《그리고 네 엄마도(Y tu mamá también)》(2001, 멕시코)는 도로 위에서 성적인 모험을 하는 두 명의 젊은 남성 친구에 대한 이야기이다.[8]

4. 6. 러시아 및 구소련 국가

러시아와 구소련 국가에서 로드 무비 장르는 '예술 영화'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점차 국제 영화제에도 진출하게 되었다. 주류 미디어에서는 외면받았지만, 이들 영화는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영화계에서 독립적인 영역을 구축했다.[1]

대표적인 로드 무비 영화는 다음과 같다:

  • 나의 기쁨(My Joy) (2010)
  • Bimmer (2003)
  • 메이저 (2013)
  • 어떻게 비트카 체스노크가 레오하 슈티르를 장애인 집에 데려갔는가(How Vitka Chesnok Took Lyokha Shtyr to the Home for Invalids) (2017)


로드 무비 스타일을 차용한 영화는 다음과 같다:

  • 모르핀 (2008)
  • 리바이어던 (2014)
  • 화물 200 (2007)
  • 돈바스 (2018)[1]


이 영화들은 범죄, 부패, 권력, 역사, 중독, 실존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강렬한 실존주의적 경향부터 블랙 코미디 스타일까지, 로드 무비는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했다. 세르게이 로즈니차 감독의 작품이 특히 주목할 만한데, 초기작 나의 기쁨(My Joy) (2010)에서는 소련 붕괴 이후 쇠퇴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블랙 느와르 스타일로 그렸고, 후기작 돈바스 (2018)에서는 블랙 코미디와 풍자를 통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비극을 강조했다.[1]

4. 7. 인도

인도 영화 제작자 람 고팔 바르마는 ''크샤나 크샤남''과 같은 로드 무비를 제작했다. 런던 대학교 남아시아학과 강사 레이첼 드와이어는 바르마가 새로운 시대의 필름 느와르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42][43] ''크샤나 크샤남''은 앤아버 영화제에서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이는 마니 라트남의 ''티루다 티루다''와 바르마의 ''다우드'', ''아나가나가 오카 로주'', ''로드''와 같은 영화들의 제작으로 이어졌다.[44]

21세기 볼리우드 영화는 도쿄 사쿠라 그랑프리 상 후보에 오른 ''로드, 무비'', 트라이베카 영화제[45][46], 제6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의 제너레이션 14플러스 부문에 선정된 영화들이 많아졌다.[47][48]

''라이어스 다이스''는 실종된 남편을 찾아 떠나는 젊은 여성의 이야기를 다루며, 도시 이주에 따른 인간적 비용과 이주 노동자 착취 문제를 다룬다. 이 영화는 제87회 아카데미상 아카데미 국제 장편 영화상 부문 인도 출품작이었으며,[49][50] 소피아 국제 영화제에서 특별상을 수상했다.[51][52] ''카르완''은 주인공이 사고로 아버지를 잃은 후 벵갈루루에서 코치까지 로드 트립을 떠나는 이야기이다.[53]

조야 악타르의 ''진다기 나 밀레기 도바라''에 대해 가디언의 라이언 길비는 "여전히 매진 행렬을 이루고 있으며,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매끄럽긴 하지만, 영화에 등장하는 다양한 스페인 도시를 대표하는 관광청 직원들만이 웃으며 나올 것이다."라고 평했다.[54] ''피쿠''는 델리에서 콜카타로 여행을 떠나는 피쿠 바네르지, 그의 아버지 바슈코르, 그리고 라나 차우드리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55] 나게쉬 쿠쿠누르의 영화 ''다나크''에서 시각 장애인 아이와 그의 여동생은 자이살메르에서 조드푸르까지 300km의 여정을 홀로 떠난다. 이 영화는 제65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어린이 심사단의 최우수 아동 영화 부문 ''크리스탈 베어 그랑프리''와 제너레이션 K플러스 부문 최우수 장편 영화 특별 언급상을 수상했다.[56] ''파인딩 파니''는 고아를 배경으로 파니를 찾아 로드 트립을 떠나는 다섯 명의 친구들의 여정을 따라간다.[57] ''더 굿 로드''는 하이퍼링크 시네마 형식으로, 구자라트의 시골 지역, 쿠치의 한 마을 근처의 고속도로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58]

4. 8. 아프리카

니제르의 코코리코! 므시외 풀레(1977), 모잠비크의 소금과 설탕의 기차(2016), 모로코의 하야트(2016), 세네갈투키 부키(1973), 부르키나파소의 국경선(2017) 등이 아프리카에서 제작된 로드 무비이다.[59][60]

5. 주요 작품

제목국가연도
존 포드역마차미국1939년
분노의 포도미국1940년
로드 무비 시리즈
싱가포르로 가는 길 Road to Singapore미국1940년
아프리카로 가는 길 Road to Zanzibar미국1941년
모로코로 가는 길 Road to Morocco미국1942년
알래스카로 가는 길 Road to Utopia미국1946년
남미로 가는 길 Road to Rio미국1948년
발리로 가는 길 Road to Bali미국1952년
미사일로 가는 길 Road to Hong Kong미국1962년
La Strada이탈리아1954년
밉지 않은 녀석일본1962년
It's a Mad, Mad, Mad, Mad World미국1963년
매지컬 미스터리 투어영국1967년
이지 라이더 Easy Rider미국1968년
미드나잇 카우보이 Midnight Cowboy미국1969년
소년일본1969년
배니싱 포인트 Vanishing Point미국1970년
가족일본1970년
레드 선 Soleil Rouge프랑스·이탈리아·스페인1971년
도시의 앨리스 Alice in den Städten서독1973년
페이퍼 문 Papermoon미국1973년
스케어크로우 Scarecrow미국1973년
해리와 톤토 Harry and Tonto미국1974년
행복의 노란 손수건일본1977년
마이 로드일본1980년
블루스 브라더스 The Blues Brothers미국1980년
온 더 로드일본1982년
스트레인저 댄 파라다이스 Stranger Than Paradise미국1984년
파리, 텍사스 Paris, Texas서독·프랑스1984년
판당고 Fandango미국1985년
스탠 바이 미 Stand by Me미국1986년
다운 바이 로 Down By Law미국1986년
크로스로드미국1986년
아리조나 유괴 사건 Raising Arizona미국1987년
남자는 괴로워 토라지 이야기일본1987년
미드나잇 런 Midnight Run미국1988년
레인 맨 Rain Man미국1989년
레닌그라드 카우보이즈 고 아메리카 Leningrad Cowboys Go America핀란드·스웨덴1989년
눈의 콘체르토일본1991년
델마와 루이스 Thelma und Louise미국1991년
광란의 사랑 Wild at Heart미국1990년
아이다호 My Own Private Idaho미국1991년
포에버 로드 Leaving Normal미국1992년
캘리포니아 Kalifornia미국1993년
트루 로맨스 True Romance미국1993년
프리실라 Adventures of Priscilla, Queen of the Desert오스트레일리아1994년
크리스 팔리의 토미 보이 Tommy Boy미국1995년
겟 온 더 버스 Get On the Bus미국1996년
선체이서 Sunchaser미국1996년
노킹 온 헤븐스 도어 'Knockin on heaven door독일1997년
중앙역 Central do Brasil브라질1998년
그레이스랜드 Finding Graceland미국1998년
블루스 브라더스 2000 The Blues Brothers 2000미국1998년
스트레이트 스토리 The Straight Story미국1999년
기쿠지로의 여름일본1999년
언니가 있던 여름, 없던 여름. The Invisible Circus미국2000년
바람꽃일본2001년
그리고 당신의 어머니도 Y tu mamá también멕시코2001년
크로스로드 Crossroads미국2002년
사이드웨이 Sideways미국2005년
모터사이클 다이어리 The Motorcycle Diaries아르헨티나·미국·기타2004년
라스트 맵/진실을 찾아서 Around the Bend미국2004년
브로큰 플라워 Broken Flowers미국2005년
트랜스아메리카 Transamerica미국2005년
리틀 미스 선샤인 Little Miss Sunshine미국2006년
미스터 빈의 홀리데이 'Mr. Beans Holiday''영국2007년
인생은 노 리턴 - 나와 엄마, 눈물의 3000마일 The Guilt Trip미국2012년
네브래스카 Nebraska미국2013년


참조

[1] 뉴스 Notes for a Theory of the Road Movie https://www.nytimes.[...] 2018-08-25
[2] 서적 Dictionary of Media and Communications M.E. Sharpe
[3] 문서 "Introduction".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4] 문서 "Introduction".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5] 서적 Driving Visions: Exploring the Road Movie University of Texas Press
[6] 문서 "Introduction".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7] 서적 THE FRENCH ROAD MOVIE: Space, Mobility, Identity Berghahn Books
[8] 웹사이트 Road Movies https://www.encyclop[...] Schirmer Encyclopedia of Film 2018-09-13
[9] 문서 "Road movie" in Cinema Studies: The Key Concepts (Third Edition) Routledge
[10] 서적 THE FRENCH ROAD MOVIE: Space, Mobility, Identity Berghahn Books
[11] 서적 The Road Movie: In Search of Mean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12] 서적 Road Movies: From Muybridge and Méliès to Lynch and Kiarostami Springer
[13] 간행물 Présentation. Le road movie : un genre issu d’une constellation moderne de locomotion et de médiamotion. 2008
[14] 문서 "Introduction".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15] 문서 "Introduction".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16] 서적 THE FRENCH ROAD MOVIE: Space, Mobility, Identity Berghahn Books
[17] 문서 "Introduction".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18] 문서 "Introduction".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19] 서적 Road Movies: From Muybridge and Méliès to Lynch and Kiarostami Springer
[20] 서적 The Road Movie: In Search of Mean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21] 서적 All Roads Lead to the American City Hong Kong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10 great dystopian Australian road movies https://www.bfi.org.[...] British Film Institute 2018-08-21
[23] 문서 "The Global Back of Beyond: Ethics and the Australian Road Movie". In Transnational Australian Cinema: Ethics in the Asian Diasporas Lexington Books
[24] 웹사이트 10 great dystopian Australian road movies https://www.bfi.org.[...] British Film Institute 2018-08-21
[25] 웹사이트 I'm Yours: Leonard Farlinger http://exclaim.ca/fi[...] Exclaim 2018-08-21
[26] 서적 Global Genres, Local Films: The Transnational Dimension of Spanish Cinema Bloomsbury Publishing USA
[27] 간행물 Where Wim Wenders Went Wrong http://www.newyorker[...] 2016-06-07
[28] 뉴스 Wim Wenders retrospective: five to watch, and one to miss https://www.theguard[...] 2015-03-04
[29] 서적 Road Movies: From Muybridge and Méliès to Lynch and Kiarostami Springer
[30] 문서 "Introduction".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31] 서적 THE FRENCH ROAD MOVIE: Space, Mobility, Identity Berghahn Books
[32] 서적 THE FRENCH ROAD MOVIE: Space, Mobility, Identity Berghahn Books
[33] 서적 THE FRENCH ROAD MOVIE: Space, Mobility, Identity Berghahn Books
[34] 문서 "The Transnational Dimension of Contemporary Spanish Road Movies" in Global Genres, Local Films: The Transnational Dimension of Spanish Cinema Bloomsbury Publishing USA
[35] 문서 "The Transnational Dimension of Contemporary Spanish Road Movies" in Global Genres, Local Films: The Transnational Dimension of Spanish Cinema Bloomsbury Publishing USA
[36] 서적 The Transnational Dimension of Contemporary Spanish Road Movies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5
[37] 서적 The Transnational Dimension of Contemporary Spanish Road Movies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5
[38] 서적 The Transnational Dimension of Contemporary Spanish Road Movies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5
[39] 서적 The Transnational Dimension of Contemporary Spanish Road Movies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5
[40] 서적 The Transnational Dimension of Contemporary Spanish Road Movies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5
[41] 웹사이트 Three Men and a Leg https://variety.com/[...] 1998-01-12
[42] 웹사이트 The Sunday Tribune - Spectrum http://www.tribunein[...]
[43] 뉴스 Behind The Scenes http://www.outlookin[...] 2005-05-30
[44] 뉴스 Edouard Waintrop on the New Indian Cinema : UP Front – India Today http://indiatoday.in[...] 2012-05-18
[45] 웹사이트 Road, Movie http://tiff.net/film[...] Toront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46] 웹사이트 Road Movie set to premier in Toronto on Friday http://ibnlive.in.co[...] 2009-09-18
[47] 웹사이트 ROAD, MOVIE selected as Berlin Festival opener http://www.aol.in/bo[...] AOL Bollywood 2010-01-14
[48] 웹사이트 11 Bollywood Road Trip Movies to Inspire you to Hit the Road! https://www.holidify[...]
[49] 웹사이트 Geethu Mohandas' 'Liar's Dice' is India's official entry to the Oscars http://ibnlive.in.co[...] 2014-09-23
[50] 웹사이트 Oscars: India Selects 'Liar's Dice' for Foreign-Language Category http://www.hollywood[...] 2014-09-23
[51] 웹사이트 Liar's Dice wins Special Jury award at Sofia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ttp://dearcinema.co[...]
[52] 웹사이트 Top 10 small-budget independent films set to release in 2015 http://www.mid-day.c[...] 2015-01-09
[53] 뉴스 Movie Review: Karwaan https://www.filmfare[...] 2018-08-05
[54] 웹사이트 Ryan Gilbey's Bollywood contract: Hindi heroes pack a soft and hard punch https://www.theguard[...] 2011-08-02
[55] 뉴스 'Piku' trailer to be released with 'Detective Byomkesh Bakshy!' http://www.mid-day.c[...] Mid-Day
[56] 웹사이트 Dhanak | Rainbow | Regenbogen https://www.berlinal[...]
[57] 웹사이트 Deepika Padukone, Arjun Kapoor Team Up for English Film http://www.ibtimes.c[...] 2013-05-10
[58] 웹사이트 News18.com: CNN News18 Latest News, Breaking News India, Current News Headlines http://ibnlive.in.co[...]
[59] 웹사이트 20 best African films – ranked! http://www.theguardi[...] 2020-10-01
[60] 웹사이트 The African road movies of Khouribga | Transnational Moroccan Cinema http://moroccancinem[...] 2017-09-29
[61] 서적 The Road Movie: In Search of Mean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
[62] 서적 THE FRENCH ROAD MOVIE: Space, Mobility, Identity Berghahn Books
[63] 서적 The Road Movie: In Search of Mean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
[64] 서적 The Road Movie: In Search of Mean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
[65] 서적 Introduction Routledge 2002
[66] 서적 Introduction Routledge 2002
[67] 서적 Introduction Routledge 2002
[68] 뉴스 Wheels On Film: Easy Rider https://www.telegrap[...] 2009-02-26
[69] 서적 THE FRENCH ROAD MOVIE: Space, Mobility, Identity Berghahn Books
[70] 서적 THE FRENCH ROAD MOVIE: Space, Mobility, Identity Berghahn Books
[71] 서적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72] 서적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73] 서적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74] 서적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75] 서적 Road Movies: From Muybridge and Méliès to Lynch and Kiarostami Springer
[76] 웹사이트 10 great road movies of the 21st century https://www.bfi.org.[...] BFI 2018-01-23
[77] 뉴스 Review/Film Festival: The Living End; Footloose, Frenzied and H.I.V.-Positive https://www.nytimes.[...] 1992-04-03
[78] 뉴스 Notes for a Theory of the Road Movie https://www.nytimes.[...] 2007-11-11
[79] 서적 Dictionary of Media and Communications M.E. Sharpe
[80] 서적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81] 서적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82] 서적 Driving Visions: Exploring the Road Movie University of Texas Press
[83] 서적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84] 서적 THE FRENCH ROAD MOVIE: Space, Mobility, Identity Berghahn Books
[85] 웹사이트 Road Movies https://www.encyclop[...] Schirmer Encyclopedia of Film
[86] 서적 Cinema Studies: The Key Concepts Routledge
[87] 서적 THE FRENCH ROAD MOVIE: Space, Mobility, Identity Berghahn Books
[88] 서적 The Road Movie: In Search of Mean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89] 서적 Road Movies: From Muybridge and Méliès to Lynch and Kiarostami Springer
[90] 서적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91] 서적 The Road Movie: In Search of Mean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92] 서적 THE FRENCH ROAD MOVIE: Space, Mobility, Identity Berghahn Books
[93] 서적 The Road Movie: In Search of Mean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94] 서적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95] 서적 The Road Movie: In Search of Mean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96] 서적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97] 서적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98] 서적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99] 웹사이트 底抜けのるかそるか https://eiga.com/mov[...] 映画.com 2022-09-24
[100] 뉴스 Wheels On Film: Easy Rider https://www.telegrap[...] 2009-02-26
[101] 서적 THE FRENCH ROAD MOVIE: Space, Mobility, Identity Berghahn Books
[102] 서적 THE FRENCH ROAD MOVIE: Space, Mobility, Identity Berghahn Books
[103] 서적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104] 서적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105] 서적 The Road Movie Book Routledge
[106] 서적 Introduction Routledge 2002
[107] 서적 Introduction Routledge 2002
[108] 서적 Road Movies: From Muybridge and Méliès to Lynch and Kiarostami Springer 2007
[109] 웹사이트 10 great road movies of the 21st century https://www.bfi.org.[...] BFI 2018-10-13
[110] 웹사이트 アメリカン・ハニー https://eiga.com/mov[...] 映画.com 2022-09-24
[111] 웹사이트 人生タクシー https://eiga.com/mov[...] 映画.com 2022-09-24
[112] 웹사이트 映画『レッド・サン』の感想・レビュー[1400件] {{!}} Filmarks https://filmarks.com[...] 2024-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